생활법률과 기타/법률정보[생활법률]

자동차 리콜 2017년 5,600대

법대로 2017. 9. 30. 13:29

 
현대, 포드, 다임럭트럭, BMW 리콜 실시
(자동차 4,992대, 건설기계 700대)


□ 국토교통부(장관 김현미)는 4개 업체에서 제작하거나 수입하여 판매한 자동차, 이륜자동차 및 건설기계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되어 자발적으로 시정조치(리콜)한다고 밝혔다.

□ 현대자동차(주)에서 제작하여 판매한 아이오닉 일렉트릭 등 3개 차종 4,002대는 다음과 같은 결함이 발견되어 2가지 리콜을 실시한다.

 ㅇ (전력제어장치 보호덮개) 아이오닉 일렉트릭 3,408대는 전력제어장치 보호덮개(통합제어기 하우징)의 제작이 잘못되어 미세한 구멍이 발생하였을 수 있으며, 이 구멍으로 냉각수 등이 유입될 경우 회로가 합선되어 가속이 안되는 등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확인되었다.

  - 해당차량은 9월 28일부터 현대자동차(주)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(점검 후 개선부품으로 교환)를 받을 수 있다.

 ㅇ (엔진 크랭크샤프트) 제네시스 G 80 등 2개 차종 594대(람다 3.3 GDI엔진 장착차량)는 엔진 크랭크샤프트* 제조 시 열처리 공정이 잘못되어 금속 이물질이 떨어져 나올 수 있으며, 이러한 금속 이물질로 인하여 크랭크샤프트와 베어링사이에서 소착현상이 발생해 주행 중 시동꺼짐이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.

   * 크랭크샤프트 : 내연기관 등에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기능을 하는 축 소착현상 : 마찰이 극도로 심해지면서 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접촉되는 면이 용접한 것과 같이 되어버리는 현상

  - 해당차량은 10월 18일부터 현대자동차(주)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(부품번호 확인 후 문제부품이 장착된 경우 엔진교환)를 받을 수 있다.


□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(유)에서 수입하여 판매한 포드 Explorer 등 2개 차종 2대는 전자식 조향장치를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로부터 보호하는 방열판을 체결하는 볼트가 부식될 수 있으며, 볼트가 부식되어 방열판이 떨어질 경우, 전자식 조향장치가 열에 손상되어조향보조기능이 작동하지 않아 스티어링 휠(핸들)이 무거워 지는 등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확인되었다.

 ㅇ 해당차량은 9월 29일(화)부터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(유)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(개선부품으로 교환)를 받을 수 있다.


□ 다임러 트럭 코리아(주)에서 수입하여 판매한 Arocs 964 등 자동차 및 건설기계 909대는 구동축과 바퀴고정부위의 용접이 잘못되어 파손될 경우 바퀴가 차량에서 분리 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.

 ㅇ 해당 자동차 및 건설기계는 10월 10일(화)부터 다임러트럭코리아(주)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(점검 후 개선부품으로 교환)를 받을 수 있다.

□ 비엠더블유코리아(주)에서 수입하여 판매한 BMW R Nine T 등 2개 차종 779대의 이륜자동차는 다음과 같은 결함이 발견되어 2가지 리콜을 실시한다.

 ㅇ (후륜 고정장치) BMW R Nine T 715대는 뒷바퀴를 차체와 고정시키는 장치(스윙암)을 고정하는 볼트가 풀릴 수 있으며, 볼트가 풀릴 경우 뒷바퀴로 구동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, 주행 중 차체가 흔들리는 등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확인되었다.

 ㅇ (후방 제동등) BMW R 1200 RT 64대는 전기장치 제어소프트웨어의 오류로 특정상황(라이트 자동소등 기능 작동 시)에서 후방 제동등이 작동하지 않아 후방추돌 사고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.

 ㅇ 해당차량은 9월 28일부터 비엠더블유코리아(주)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(볼트재조립,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)를 받을 수 있다

☐ 이번 리콜과 관련하여 기타 궁금한 사항은 현대자동차(주)(080-600-6000),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(유)(1600-6003), 다임러트럭코리아(주)(080-001-1886), 비엠더블유코리아(주)(080-269-5005)로 문의하면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.

□ 국토교통부는 자동차 및 건설기계의 결함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작결함정보를 수집·분석하는 자동차 및 건설기계 리콜센터(www.car.go.kr, 080-357-2500)를 운영하고 있으며, 홈페이지에서 상시적으로 해당차량의 리콜대상 여부 및 구체적인 제작결함 사항을 확인 할 수 있다.




※ <참고1> 리콜 대상 자동차 및 건설기계는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참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