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생활법률] 제사 주재자의 결정 방법
일상생활에서 부모가 돌아가시면 그 자녀 중 누가 제사를 주재하여야 할까?
현재 제사는 망인의 자녀 중 장손이 제사를 주재하고 있는 현실에서 제사를 주재하는 자에 대하여 법원의 판결이 주목된다.
제사주재자는 우선적으로 망인의 공동상속인들 사이의 협의에 의해 정하되,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제사주재자의 지위를 유지할 수 없는 특별한 사정이 있지 않은 한
1. 망인의 장남(장남이 이미 사망한 경우에는 장남의 아들, 즉 장손자)이 제사주재자가 되고,
2. 공동상속인들 중 아들이 없는 경우에는 망인의 장녀가 제사주재자가 된다.
3. 다만 망인이 유언이 있을 경우 그 유언에 따른다. (대법원 판결 2007다27670)
자료제공: - 법률사무직원 전문양성교육기관 -
중앙 법률사무교육원 (http://www.linklaw.co.kr)
'생활법률과 기타 > 법률정보[생활법률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법률] 상표와 간접강제에 대한 질의 답변 (0) | 2009.01.06 |
---|---|
[생활법률] 부동산 명의신탁자 처벌기준 (0) | 2008.12.29 |
[생활법률] 일조권 침해에 의한 손해배상 기준 (0) | 2008.12.18 |
[생활법률] 집합건물 소유권 이전 후 체납관리비 납부의무 (0) | 2008.12.16 |
[생활법률] 증권사 직원의 투자수익 보장약속에 따른 손해배상 (0) | 2008.11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