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질문의 요지]
주권교부청구권을 압류및 추심명령했습니다.
인용 결정은 이전에 받았습니다.
청구권이라서 매각물이 될 수 없다고 하는데
그럼 주식 자체로 다시 압류해야 하나요?
주권교부청구권 압류및추심 결정문 들고 집행관 사무실에 현금화신청 할 수는 없나요?
[답변] 채권자가 채권을 가지고 채무자에 대한 주권을 압류할 경우 아래와 같이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
1. 6개월 경과 전의 주식
회상 성립 이후 또는 신주 납입기일 후 6개월이 경과하기 전에는 주권밸행 전의 주식의양도가 회사에 대하여 효력이 없습니다.
따라서 주식자체를 압류하거나 현금화 하는 집행은 불가능합니다.
주문에서
1) 채무자의 제3채무자에대한 별지목록 기재 주권교부청구권을 압류한다.
2) 제3채무자는 채무자에 대하여 위 주권을 교부하여서는 아니된다.
3)채무자는 위 청구권의 추심 그 밖의 일체의 처분을 하여서는 아니된다.
4) 제3채무자는 위 주권을 채권자가 위임하는 집행관에게 인도하여야 한다.
5) 채권자는 그기 위임하는 집행관으로 하여금 위 주권교부청구권을 추심하게 할수 있다.
라고 결정을 수령하였다고 가정할 때
주권교부 청구권에 대한 강제집행은 유체동산인도청구권에 대한 강제집행의 예에 따릅니다.(민집251조)
다시말해서 채권자는 주권교부청구권에 대하여 집행법원에 압류명령을 받은 후 회사가 주권을 발행하면 집행관이 인도받아서 현금화 하게 됩니다.
회사가 주권을 발행하지아니하면 채권자는 추심소송을 제기할 수 있고, 회사가 거부할 경우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할 수 있습니다.
2. 6개월 경과 후의 주식의 경우
위에서 6개월이 경과한 회사의 주식에 대하여 압류할 경우주식 자체에 대하여 압류가 가능하며, 이때 집행법원으로부터 압류명령을 받고 그에 대한 양도명령, 매각명령 등 특별현금화의결정을 받아 현금화하면 됩니다.
이상
'생활법률과 기타 > [집행관련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외국판결로 국내에서 강제집행을 실시할 경우 기준? (0) | 2009.04.17 |
---|---|
Re:사행행위와 채무자의 사망에 따른 강제집행 (0) | 2009.03.25 |
Re:압류된 주식 현금화 하는 방법은? (0) | 2009.03.24 |
Re:압류 및 추심명령에서 채무자의 즉시항고여부(채권자의 과잉압류를 주장가능한지) (0) | 2009.03.12 |
부동산 경매신청서 사례 (0) | 2009.02.20 |